티스토리 뷰

생활건강정보

성숙의 시기와 속도

인포언급 2023. 3. 27. 18:59

성숙의 시기와 속도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와 그 성장 속도는 개인, 문화, 시대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난다. 평균보다 빠른 또는 늦은 성숙은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춘기의 시작시기

사춘기는 빠르면 여자 아이는 8살 또는 남자 아이는 9살 6개월 정도 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늦을 경우에는 대략 13세(여자) 13 1/2(남자)에 시작된다.

 

여자의 경우, 사춘기의 시작에서 완전한 신체적인 성숙까지의 기간이 짧으면 1년 또는 1년 6개월 정도 소요되어지며, 길 경우에는 6년 정도 소요된다. 남자는 2년 에서 5년 정도 소요된다(Tanner, 1972). 따라서 청소년들 중에는 어떤 아이
는 사춘기가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자기는 이미 신체적으로 완전히 성숙되는 경우도 있다.

사춘기
사춘기


일반적으로 사춘기의 시작을 연령으로 표현하며 일찍 성숙하는 아이가 늦게 성숙하는 아이에 비해 더 많은 성숙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렇지만 사춘기의 시작과 그 성숙 정도는 연령과는 관계가 없으며, 늦게 성숙하는 아이들도 일찍 성숙된 아이와 유사한 신장을 갖는다..(Marshall,1978).

 

 사춘기에 대한 유전적, 환경적 영향

개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사춘기의 시작과 성숙 속도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칠까? 왜 어떤 사람은 빨리 성숙하는데, 다른 사람은 비교적 늦게 성숙할까?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춘기의 시작과 성숙속도의 차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대개 다음 두가지 차원 즉 왜 개인적인 차이와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는가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사춘기 성숙의 개인적인 차이 : 사춘기의 성숙이 유전 또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동일한 유전인자를 가진 두 사람이 다른 환경에서 자랐을 때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사춘기 성숙의 패턴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사람(일란성 쌍생아)이 다른 환경에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성숙 패턴을 보
인다면 사춘기의 성숙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란성 쌍생아를 대상으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마샬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경우에는 비록 환경적인 영향이 다르더라도 유사한 성숙 패턴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사춘기 성숙에 미치는 유전적 요인의 강력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환경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록 유전적인 요인이 사춘기의 시작과 성숙 속도를 어느정도 결정하지만 그 영향력이 절대적인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사람이 약 13세에 사춘기가 시작되도록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반드시 그 시기에 사춘기가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이 사람이 13세에 사춘기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요인(예를 들어, 영양상태 등)이 적절해야만 사춘기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춘기 성숙의 시기와 성숙 속도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사춘기의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은 영양과 건강상태이다. 사춘기가 시작되기 전인 태내기, 유아기, 아동기 동안 적절한 영양을 섭취한 사람은 일찍 사춘기가 시작되고, 단백질과 칼로리가 부족한 사람은 대개 사춘기가 늦게 시작된다. 

 

아동기와 청소년기동안의 만성적인 질병이나 육체적으로 과도한 훈련 등은 사춘기의 시작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발레 선수나 엄격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동료들에 비해 사춘기의 시작이 늦은 것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Frisch, 1983).


사춘기 성숙의 집단간 차이 : 사춘기 성숙의 집단 간 차이는 일반적으로 여러 지역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초경의 평균 연령을 통해 연구되어진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개 유전적인 요인은 사춘기 성숙의 집단 간차이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Eveleth & Tanner, 1976),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은 ① 각 나라별 초경 연령의 비교, ② 동일한 국가에서 사회계층에 따른 비교, ③ 시대에 따라 동
일 연령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비록 초경이 사춘기의 시작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집단 간 비교에서 초경연령을 그 지표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사춘기의 심리적, 사회적 영향

사춘기로 인한 심리적이고 사회적 영향은 서로 순환적이고 상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신체적인 성숙은 자기 이미지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타인의 행동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제 막 사춘기가 시작된 청소년은 자신의 변화된 신체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고, 가정에서 목욕이나 옷을 갈아입을 때 문을 잠그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한다. 

 

이러한 행동의 변화는 가족들로 하여금 청소년 자녀의 방에 들어갈 때 노크를 하도록 하는 행동의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사춘기로 인한 외향적인 신체 변화는 주변의 친구, 부모 등의 행동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타인의 행동변화는 청소년 자신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도 일으킨다. 

 

즉 부모들은 자녀의 턱에 생긴 수염과 목소리의 변화로 인해 자녀를 더 이상 아이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되어 어른 취급을 하게 되며, 부모의 달라진 대우에 따라 청소년 스스로도 자기를 과거와는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려 한다.


사춘기로 인한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관한888 연구는 두 가지 접근으로 대별되어진다. 한 가지는, 사춘기의 발달정도에 따른 집단의 심리적, 사회적 영향을 연구하는 횡단적 방법과 동일한 개인을 대상으로 발달정도에 따라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연구하는 종단적 방법이다. 이러한 접근법에서는 주로 사춘기로 인한 즉각적인 심리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성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